유닉스 기초/[유닉스 이론과 실습] 연습문제

[유닉스 이론과 실습] 9장 연습문제

ʕっ•ᴥ•ʔっ 프론트엔드 개발하는 쿼카 2021. 5. 9. 14:55

01. 프로젝트 A의 파일들을 아카이브로 만들려고 한다. 파일명은 모두 pA로 시작하며 아카이브를 압축하지는 않는다. 아카이브 이름을 projA.tar로 만드는 명령은 무엇인가?

 

     ① tar tvf projA.tar pA*

      tar cvf projA.tar pA*

      tar cvf pA*

      jar cvf projA.tar pA*

 

더보기

정답 :  tar cvf projA.tar pA*

 tar 명령: 여러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한다.

- cvf : 아카이브 생성하기

- tvf : 아카이브의 내용 확인하기

 

- (기능) c : 새로운 tar 파일 생성

- (기능) t : tar 파일에 저장된 파일의 목차 출력

- (옵션) v : verbose 모드, 처리하고 있는 파일 정보 출력

- (옵션) f : 아카이브 파일이나 테이프 장치를 지정, 파일 이름을 "-"로 지정하면 tar 파일 대신 표준 입력에서 읽어들임

 


 

02. 기존에 아카이브로 만든 projA.tar의 파일 중 pA03.txt 파일의 내용이 바뀌었다. 아카이브에 수정된 반영하기 위한 명령은 무엇인가?

 

     ① tar cvf projA.tar pA03.txt

      tar xvf projA.tar pA03.txt

     ③ jar cvf projA.tar pA03.txt

      tar uvf projA.tar pA03.txt

 

더보기

정답 :  tar uvf projA.tar pA03.txt

▶ tar 명령

- xvf : 아카이브 풀기

- uvf : 아카이브 업데이트하기

- rvf : 아카이브에 파일 추가하기

 

- (기능) x : tar 파일에서 원본 파일 추출

- (기능) u : 수정된 파일을 tar 파일에 업데이트

 

▶ jar 명령 :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 하나의 아카이브 파일로 만들고 압축한다.

- cvf : 아카이브 생성하고 압축하기

- c0vf : 아카이브만 생성하기

 

- (기능) c : 새로운 jar 파일 생성

 


 

03. 프로젝트 B의 파일들을 아카이브로 만들려고 한다. 파일명은 모두 pB로 시작하며 아카이브로 만들며 최대로 하려고 한다. 아카이브 이름을 projB.jar로 만드는 명령은 무엇인가?

 

     ① jar cvf projB.jar pB*

     ② jar c0vf projB.tar pB*

     ③ jar cvf pB*

      tar cvf projB.tar pB*

 

더보기

정답 : ① jar cvf projB.jar pB*

 


 

04. 다음 압축 명령 중 원본 파일을 놔두고 압축 파일을 별도로 생성하는 명령은 무엇인가?

     ① compress

     ② gzip

     ③ zip

      bzip2

 

더보기

정답 : ③ zip

- compress 명령 : 지정한 파일을 압축해 '파일명.Z'인 파일을 생성한다.

- gzip 명령 : 지정한 파일을 압축해 '파일명.gz'인 파일을 생성한다.

- zip 명령 : 지정한 파일을 압축해 '파일명.z'이라는 파일을 생성한다. zip 명령도 tar 명령처럼 원본 파일은 그대로 두고 압축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.

- bzip2 명령 : bzip2 명령은 지정한 파일을 압축해 '파일명.bz2' 파일을 생성한다. 오픈소스로 개발된 명령으로 gzip이나 zip에 비해 대체로 압축률은 좋지만 속도는 약간 느리다.

 


 

05. 다음 압축 명령 중 디렉토리도 압축해주는 명령은 무엇인가?

 

     ① zip

     ② compress

     ③ gzip

      bzip2

 

더보기

정답 : ① zip

▶ zip 명령

- (옵션) -r : 디렉토리 압축

 


 

※ ~/Unix/ch9 디렉토리에 archive 디렉토리를 만들고, ~/Unix/ch9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archive 디렉토리로 복사한 후, archive 디렉토리로 이동한 다음 질문에 맞는 적당한 명령을 적으시오.

06. archive 디렉토리의 모든 내용을 ar.tar로 묶으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tar cvf ar.tar ./*

 


 

07. ar.tar 파일의 내용을 보는 명령을 기술하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tar tvf ar.tar

 


 

08. archive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확장자가 .txt인 모든 파일을 ar.jar 파일로 묶고 압축하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jar cvf ar.jar *.txt

 


 

09. ar.jar 파일에 색인 파일을 생성하고 색인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① jar i ar.jar, ② jar xvf ar.jar META-INF/INDEX.LIST, cd ./META-INF, cat INDEX.LIST

 


 

10. ar.tar 파일을 home1.tar, home2.tar, home3.tar, home4.tar 파일로 복사하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cp ar.tar home1.tar, cp ar.tar home2.tar, cp ar.tar home3.tar, cp ar.tar home4.tar

 


 

11. 10번에서 생성한 4개의 파일을 각각 compress, gzip, zip, bzip2로 압축하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compress home1.tar, gzip home2.tar, zip home3.tar, bzip2 home4.tar

 


 

12. 11번의 압축결과 중 압축율이 가장 높은 것은 어느 명령인지 기술하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bzip2

 


 

13. 생성된 압축 파일을 원래대로 복원하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uncompress home1.tar.Z, gunzip home2.tar.gz, unzip home3.tar.zip, bunzip2 home4.tar.bz2

 


 

14. archive 디렉토리를 삭제하시오.

 

더보기

정답 : rm -r ./archivee